각, 맞꼭지각, 수직, 거리의 개념은 도형과 공간의 특징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도구이다. 이번 시간에는 이들 용어를 정리하고, 수직과 거리를 체계적으로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기본 개념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는 시간이 되길 바랍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목차
각 (용어정리)
각
- 각
: 로 이루어진 도형 - 기호 :


위와 같이 각이 표현된 경우 각은 다음과 같이 다양하게 표현 가능하다.
각 의 크기
- 각
의 크기 : 꼭짓점 를 중심으로 변 가 변 까지 회전한 양 - 기호 :
- 오른쪽 그림에서
의 크기는 또는 로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작은쪽 를 의미한다.
각의 분류
- 평각 : 각의 꼭짓점을 중심으로 정반대로 향하는 두 반직선이 이루는 각.
- 크기가
인 각
- 크기가
- 직각 : 평각 크기의
인 각.- 크기가
인 각
- 크기가
- 예각 :
- 둔각 :

교각, 맞꼭지각

- 교각 : 서로 다른 두 직선이 한 점에서 만날 때 생기는
- 맞꼭지각 : 교각 중에서 서로 마주 보는 한 쌍의 각
맞꼭지각의 성질
- 맞꼭지각의 크기는 서로 같다.
[증명]
비슷한 방법으로
Q.E.D.
수직
직선과 평면의 수직과 관련된 내용을 다음과 같이 분류하여 체계적으로 정리해 보자.

직교 수직 수선


직교의 정의
는 한다 : 두 직선의 교각이 직각( )- 기호 :
- 기호 :
선분은 길이가 제한된 직선이기 때문에 만난다는 의미를 포함하는 직교라는 용어대신 수직, 수선이라는 용어를 더 많이 사용한다.
수직의 정의
-
( )에 대하여- 두 직선(선분)은 서로
( )
- 두 직선(선분)은 서로
수선의 정의
- 두 직선이 서로 수직일 때, 한 직선(선분)을 다른 직선(선분)의
이라고 한다.
이를 적용하여 위의 그림을 해석하면 다음과 같다.
는 한다. 는 이다. 는 이다.
는 의 이다. 는 의 이다.
다음으로 수직이등분선에 대해 정리해 보자.
이 의 수직 이등분선 정의 은 의 중점( )을 지남
직선과 평면의 수직

- 직선
과 평면 가 수직 : 직선 과 의 교점을 라고 할 때, 를 지나는 위의 과 이 수직- 기호 :
- 기호 :
위의 조건에서
-
를 지나는 위의 과 이 수직일 최소 조건 를 지나는 위의 과 이 수직
위의 사실을 증명하는 과정은 다른 포스팅에서 다루도록 하겠다.
두 평면의 수직

- 평면
가 에 수직 : 평면 가 에 수직인 직선 을 포함한다.- 기호 :
- 기호 :
거리
수학에서 거리는

두 점 사이의 거리는 이미 다루었으므로 여기서는 나머지 5가지 경우에 대해 학습해 보자.
점과 직선 사이의 거리

수선의 발
직선
점과 직선 사이의 거리
직선
- 점
와 직선 사이의 거리:
직각 삼각형
점과 평면 사이의 거리

평면
평면
- 점
와 평면 사이의 거리 :
두 직선 사이의 거리 ( )

서로 다른 평행한 두 직선
- 두 직선
사이의 거리 :
직선과 평면 사이의 거리 ( )

서로 평행한 직선
- 직선
과 평면 사이의 거리 :
두 평면 사이의 거리 ( )

서로 평행한 평면
- 두 평면
사이의 거리 :
맺음말
수직과 거리의 개념은 일상에서 사용하는 용어와 달리 수학에서는 명확히 정의하여 엄밀하게 사용된다. 이들 개념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기하적 사고의 기초 다지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