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항식 일차식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다항식 일차식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중학교에서 다루는 다항식의 연산은 일차식의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이고, 연산의 원리는 일차식이 아닌 일반적인 다항식에서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이번시간에는 일차식을 중심으로 다항식의 사칙연산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자. 다항식 일차식의 곱셈 …

곱셈 나눗셈 생략 식의 값 번분수

곱셈 나눗셈 생략 식의 값 번분수

이번 시간에는 문자와 식의 기본이 되는 곱셈과 나눗셈 생략, 식의 값 계산에 대해 학습해 보려고 한다. 곱셈 생략 (수)$\times$(문자), (문자)$\times$(수) 다음에 주의하자. (문자)$\times$ (문자) (수)$\times$(식), (식)$\times$(수) 곱셈 생 나눗셈 생략 …

정수와 유리수 사칙연산 생략 규칙 계산 순서

정수와 유리수의 사칙연산 생략 규칙 계산 순서

이번 시간에는 정수와 유리수의 사칙연산에 대해 정리하고, 생략 규칙을 학습한 다음 복잡한 식의 계산 순서에 대해 정리해 보기로 하자. 사칙연산 정리 덧셈과 뺄셈 덧셈 $(\bbox[#ffff00]{\pm}\;\bbox[#ffce8a]{\triangle})+(\bbox[#ffff00]{\pm}\;\bbox[#ffce8a]{\square})=(\bbox[#ffff00]{\text{부호}})(\bbox[#ffce8a]{\text{숫자}})$ 뺄셈 뺄셈은 부호가 반대인 수의 …

소인수분해 심화 문제 유형 정리

소인수분해 심화 문제 유형 정리

이번 시간에는 소인수분해와 관련된 심화 문제를 유형별로 정리해 보기로 하자. 제곱수와 소인수분해 제곱수는 어떤 자연수의 제곱이 되는 수를 뜻하고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제곱수와 지수의 관계 먼저 결론부터 정리해 보면 다음과 …

절댓값과 수의 대소관계

절댓값과 수의 대소관계

이번 시간에는 수직선을 이용해 절댓값과 수의 대소관계에 대해 정리해 보자. 수직선 먼저 정수를 수직선에 표현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수직선은 오른쪽으로 갈수록 커지고 왼쪽으로 갈수록 적어진다. 자연수 1부터 하나씩 감소하는 수 …

정수와 유리수 수의 확장

정수와 유리수 수의 확장

이번 시간에는 증가와 감소, 이익과 손해와 같은 반대의 성질을 가지는 수치나 양을 $+,-$ 부호를 이용해 나타내고, 자연수와 분수를 정수와 유리수로 확장해 보기로 하자. 양의 부호와 음의 부호 증가와 감소, 영상과 …

최소공배수 구하기 소인수분해 이용

최소공배수 구하기 소인수분해 이용

이번시간에는 소인수분해를 이용해 최소공배수를 구하는 방법에 대해 학습해 보기로 하자. 공배수와 최소공배수 먼저 초등학교에서 배운 공배수와 최소공배수에 대해 복습하고 소인수분해를 이용해 최소공배수를 구하는 방법에 대해 정리해 보기로 하자. 정의 성질 …

소인수분해로 최대공약수 구하기

최대공약수 구하기 소인수분해 이용

공약수와 최대공약수 소인수분해를 이용한 최대공약수와 공약수를 구하는 방법에 대해 학습하기 전에 초등학교에서 배운 개념과 서로소에 대한 개념을 정리하도록 하자. 정의 예시 12, 30의 최대공약수 $12$의 약수: $\{1,2,3,4,6,12\}$$30$의 약수: $\{1,2,3,5,6,10,15,30\}$$12$와 $30$의 …

소인수분해, 인수, 소인수, 거듭제곱

소인수분해, 인수, 소인수, 거듭제곱

이번 시간에는 인수와 소인수를 정의하고 소인수분해와 이를 간결하게 표현하기 위한 거듭제곱 표기법에 대해 학습해 보기로하자. 인수와 소인수 약수와 인수 먼저 정의를 정리하고 인수에 대해 정리해 보자. 예를 들어 $12$는 $\{\color{black}{1},\color{blue}{2},\color{red}{3},\color{red}{4},\color{blue}{6},\color{black}{12}\}$로 …

유한소수와 순환소수

유한소수 순환소수 조건 (유리수 분류)

유리수는 우리가 일상에서 자주 접하는 수지만, 그 특성을 제대로 이해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유리수는 분수로 표현되는 수인데, 그 소수 형태가 유한소수와 무한소수로 나뉘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 특히, 무한소수 중에서도 ‘순환소수’라는 …

명제와 진리집합 P이면 q이다

명제와 진리집합 P이면 q이다

이번 시간에는 명제의 참과 거짓을 진리집합을 이용해 정리해 보려고 한다. 수학에서는 발견된 사실을 명제로 표현하고, 명제의 참과 거짓을 판단하는 증명의 과정을 거친다. 이 과정을 논리학이라고 하고 고등학교 수학을 학습하기 위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