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각삼각형 닮음 공식, 삼각형의 닮음 조건 SSS, SAS, AA

직각삼각형 닮음 공식 삼각형의 닮음 조건 SSS SAS AA

삼각형의 닮음은 도형의 크기는 다르지만 모양이 같은 관계를 의미합니다. 수학에서 닮음 개념은 비례식, 합동, 그리고 삼각비와도 깊은 관련이 있으며, 중학교 도형 단원에서 매우 중요한 핵심 개념 중 하나입니다. 이 글에서는 삼각형의 닮음 조건(SSS, SAS, AA)과 직각삼각형 닮음 공식 응용까지 단계별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삼각형의 닮음 조건

두 삼각형이 다음 세 조건 중 어느 하나를 만족시키면 서로 닮음이 됩니다.

조건1. SSS 닮음
세 쌍의 대응변의 길이의 비가 같다.
$a:a’=b:b’=c:c’$

삼각형의 닮음 조건 SSS

조건2. SAS 닮음
두 쌍의 대응변의 길이의 비가 같고, 그 끼인각의 크기가 같다.
$a:a’=c:c’$이고 $\angle B=\angle B’$

삼각형의 닮음 조건 SAS

조건3. AA 닮음
두 쌍의 대응각의 크기가 각각 같다.
$\angle B=\angle B’,\ \angle C=\angle C’$

삼각형의 닮음 조건 AA

닮음 조건에서 닮음비가 $1:1$ $\Rightarrow$ 합동조건

  1. SSS 닮음 $\Rightarrow$ 세 쌍의 대응변의 길이가 각각 같다. (SSS 합동)
  2. SAS 닮음 $\Rightarrow$ 두 쌍의 대응변의 길이가 각각 같고, 그 끼인각의 크기가 같다. (SAS 합동)
  3. AA 닮음 $\Rightarrow$ 한 쌍의 대응변의 길이가 같고, 그 양 끝 각의 크기가 각각 같다. (ASA 합동)

닮음 조건 적용

간단한 예시를 통해 닮음 조건을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봅시다.

예제1.

삼각형의 닮음 조건 SSS
닮음 설명

$\overline{AB}:\overline{DE}=4:6=2:3$
$\overline{BC}:\overline{EF}=6:9=2:3$
$\overline{AC}:\overline{DF}=8:12=2:3$
따라서 세 쌍의 대응변의 길이의 비가 같으므로 $\triangle ABC \sim \triangle DEF$ (SSS 닮음)

예제2.

삼각형의 닮음 조건 SAS
닮음 설명

$\overline{BC}:\overline{EF}=5:10=1:2$
$\overline{AC}:\overline{DF}=3:6=1:2$
$\angle C=\angle F=40^\circ$
두 쌍의 대응변의 길이의 비가 같고 끼인각의 크기가 같으므로 $\triangle ABC \sim \triangle DEF$ (SAS 닮음)

예제3.

삼각형의 닮음 조건 AA
닮음 설명

$\angle B=\angle E=40^\circ$
$\angle C=\angle F=70^\circ$
두 쌍의 대응각의 크기가 각각 같으므로 $\triangle ABC \sim \triangle DEF$ (AA 닮음)

삼각형의 닮음 응용

SAS 닮음의 응용

공통인 각을 끼인각으로 하는 두 쌍의 대응변의 길이의 비가 같은 두 삼각형을 찾는 유형으로 예를 들면 아래와 같습니다.

SAS 닮음 응용
풀이

$\triangle ABC$와 $\triangle AED$에서
$\angle A$는 공통, $\overline{AB}:\overline{AE}=\overline{AC}:\overline{AD}=3:1$ 이므로
$\triangle ABC \sim \triangle AED$ (SAS 닮음)
따라서 $\overline{BC}:\overline{ED}=x:6=3:1\ \Rightarrow\ x=18$

AA 닮음의 응용

공통인 각이 있고, 다른 한 내각의 크기가 같은 두 삼각형을 찾는 유형으로 예를 들면 아래와 같습니다.

AA 닮음 응용
풀이

$\triangle ABC$와 $\triangle DAC$에서 $\angle C$는 공통, $\angle ABC=\angle DAC$ 이므로
$\triangle ABC \sim \triangle DAC$ (AA 닮음)
따라서 $\overline{BC}:\overline{AC}=\overline{AC}:\overline{DC}$ 이므로 $10:6=6:x\ \Rightarrow\ x=\dfrac{36}{10}=\dfrac{18}{5}$

직각삼각형 닮음 공식

$\angle A=90^\circ$인 직각삼각형 $ABC$에서 꼭짓점 $A$에서 빗변 $BC$에 내린 수선의 발을 $H$라 할 때, 다음이 성립합니다.

직각삼각형 닮음 공식

직각삼각형 닮음 공식으로 알려진 위의 사실은 아래와 같이 증명할 수 있습니다.

닮음 관계식1

직각 삼각형의 AA 닮음 응용1
설명

$\triangle ABC \sim \triangle HBA$ (AA 닮음)
$\overline{AB}:\overline{HB}=\overline{BC}:\overline{BA}\ \Rightarrow\ \overline{AB}^{2}=\overline{BH}\cdot\overline{BC}$

닮음 관계식2

직각 삼각형의 AA 닮음 응용2
설명

$\triangle ABC \sim \triangle HAC$ (AA 닮음)
$\overline{BC}:\overline{AC}=\overline{AC}:\overline{HC}\ \Rightarrow\ \overline{AC}^{2}=\overline{CH}\cdot\overline{CB}$

닮음 관계식3

직각 삼각형의 AA 닮음 응용3
설명

$\triangle HBA \sim \triangle HAC$ (AA 닮음)
$\overline{HA}:\overline{HC}=\overline{HB}:\overline{HA}\ \Rightarrow\ \overline{HA}^{2}=\overline{HB}\cdot\overline{HC}$

넓이 관계식

직각 삼각형 소공식
설명

$\dfrac{1}{2}\overline{BC}\times \overline{AD}=\dfrac{1}{2}\overline{AB}\times\overline{AC}$ 이므로
$\overline{BC} \times\overline{AD}=\overline{AB}\times\overline{AC}$ 가 성립한다.

(이미지출처:modumath)

[출처: 개념원리]